시솔길을 함께 걸어보실까요? 시조 및 파시조 등 5인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시조 이알평을 주향으로, 국당공파의 파조 국당 이천(?∼1349), 익재 이제현, 백사 이항복(1556∼1618...모시고 매년 3월과 9월 상정일(上丁日)에 춘추 향사를 봉행하고 있다.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1299년(충렬왕 25)에 국자감시에 급제하여 첨의평리상의... 2025-04-09 20:06:10
제21대 기호1번 이재명 대통령 후보 "아자 아자"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군실(君實)이고 호는 국당(菊堂)이다. 1299년(충렬왕 25년) 성균시에 장원급제하고 1321년(충숙왕 8) 우사보(右思補)로서 폐인(嬖人- 남의 비위를 잘 맞추어 귀염을 받는 사람) 이인길(李仁吉)의 첩의 아버지 서경낭장(西京郎將) 최득화(崔得和)을 수주 령(隨州守令)으로 임명하려 하자 고신... 2024-01-18 18:04:00
PNP PAINT 조선후기 일본에 대한 지식의 축적과 사고의 전환 –朝鮮使行의 記錄類를 중심으로-」, 서울대 국어국문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 시기 사행록으로는...한 수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작품이다. 작품 앞에 “후교는 자가 혜경, 호가 국당이다. 재주가 뛰어나 고 풍모가 고아하여 高時彦과 정래교가 받들어 높였다. 원고... 2025-03-14 10:33:00
하여간의 산따라 물따라 큰 서원을 세운 보살이기 때문에 ‘대원본존지장보살(大願本尊地藏菩薩)’이라 하고, 특히 가장 고통이 심한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는 데 중점을 둔다고 한다. ◎ 백화산 반야사 산신각 불교가 우리나라에 토착화하면서 고유의 민간 신앙인 산신신앙과 도교의 칠성신앙 등을 불교가 수용하면서 생겨난 단각이 삼성각(三聖... 2023-05-22 17:54:15
JESS 청주시 서원구 사직대로 308-2 2층 해호미 북카페가 오픈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방문해 본 해호미 매장 내부도, 테이블 간 거리도 넓어서 책 읽기 좋아 보였던 해호미 인테리어적으로 예뻤던 해호미 벽면에 진열되어 있던 판매용 엽서들 책들에 하나하나 붙어있는 사장님의 코멘트를 읽는 재미가 있었던 해호미 독립서점... 2023-10-06 17:45:00
동테여행가자님의 블로그 2022년 10월 15일(토) 연일 ~ 운곡서원 ~ 홍계리 코스 - 일정 (라이딩 코스) : 집 출발(09:00) -> 연일대교(09:12) -> 국당 1리(중명 저수지 09:30) -> (천강로...점심식사)(11:48 ~ 12:25) -> 철길숲 -> 포항시청 -> 집도착(12:44) - 라이딩 후기 : 오늘은 오후에 지인 결혼식이 있어 오랜만에 느긋하게 늦잠자고... 2022-10-15 17:55:00
목단의 산수기행 강동과 국당길을 거쳐 왕신못 허리숲을 파고들어 운곡서원에 도착하니 시계는 벌써 오후1시45분경을 가르킨다. 운곡서원 주차장에 도착.... 운곡서원 주차장의 작은 은행나무 돌계단을 올라 은행나무 뜰에 도착하니 은행잎은 아직 녹색티를 벗어나지 못했고.. 왠 꼬맹이 부대가 출전중이고 몇몇 선남선녀 여행자들... 2019-11-09 13:15:00
야촌 이재훈 불타버렸다. 이 서원에는 문효공 국당 이천(文孝公 菊堂 李蒨)을 주벽으로 익재 이제현(益齋 李齊賢), 화암 이정견(華菴 李廷堅),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거쳐 월성군에 봉해졌다. 祝文 : 百世英風 士林宗謨 千古聖谷 遺風不沫 扶義存社 闡學衛道 澤及後蒙 永垂矜式 2)이제현(李齊賢, 1287∼1367) 고려 후기의... 2016-02-20 16:10:43
경주(慶州-月城)이씨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시부(詩賦)를 시험할 때 수석을 차지하여 황패(黃牌)를 받고 국학직강(國學直講)으로 왕명에 의하여 새로운 악곡을 작곡...익재공의 형이 되는 이암공 휘 관이다. ◆ [묘산도는 道天書院(도천서원- 경산)에서 발간한 별지(別紙)로 된 것이다. 묘산도를 보면 왼쪽 능선에 익재공(휘... 2009-01-21 13:29:09
◎건대원룸 왕언니◎ OneRoom BigSister◎ 답사후기를 올려보는 건대왕언니에요. 가을의 길목에서 지난 일요일 충북 영동군의 몇곳을 다녀왔어요. 영동(永同)의 한천팔경(寒泉八景)이라는 주제로 영국사(寧國寺)와 조선초기 남지언(南知言)이 후진양성을 위해 세웠다는 삼괴당(三槐堂)과 세조와 관련된 설화가 있는 반야사(般若寺), 황간면 원촌리 깎아... 2014-09-23 23:3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