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도전과 기회의 땅. 활력 넘치는 희망의성 구성, 서까래의 가공 수법, 사랑채의 평면 구성 및 사랑 대청의 구성이 조선 후기 살림집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답니다. 이곳은 의성 점우당인데요, 이장섭...전체적으로 트인 ‘ㅁ’ 자형 고택입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곳은 자암 이민환 선생의 종택인 자암종택입니다. 마을 앞 솔밭에 있던 안채를 입향조 이광준... 2024-12-12 19:15:00
바다사랑님의 블로그 소우당 고택 [Soudang Historic House, Uiseong, 義城 素宇堂 古宅]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의성 점우당은 영천 이씨(榮川 李氏)의 집성촌인 산운 마을 입구에 자리 잡은 죽파(竹坡) 이장섭(李章燮)[1854~1907)이 1900년경에 건립한 가옥이다. 의성 점우당은 안채, 사랑채, 헛간채,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2024-03-13 16:10:00
세종해피뉴스 조선 후기 만석꾼인 송소 심호택의 차남으로, 안동도산서원장, 안동병산서원장, 청송향교 전교등을 지낸 분이다. 송정고택과 연접해 있으며 안채, 사랑채, 별채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이다. [송정고택] 옆면으로 보면 ㅁ자형 구조가 보인다 . 이건물은 입구에 대문채를 가지고 있으며 송소 고택과 담... 2024-01-11 21:07:57
자연, 여행 그리고 삶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실학자이자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생가로,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고택은 예산 10경 중 한곳입니다 . 추사고택은 봄마다 사랑채 앞마당에 모란이 흐드러지게 피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모란은 4월 중순부터 피기 시작해 고택을 진한 향기로 감싸며... 2025-04-30 00:18:00
아름다운 둘레길 여행(ksb115205님의 블로그) www.usc.go.kr 01. 산운마을 의성 소우당 고택 / 의성 운곡당 / 의성 점우당/ 자암종택 / 의성 학하고택 주소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수정사길 17 경상북도...집성촌인 의성 소우당 고택은 산운마을의 가운데 위치를 하고 있으며 조선 후기 의성 지방의 양반집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고택의 구조는 살림채와 별당... 2023-09-19 08:34:00
사유의 나날 남해> + 자암 김구는 한석봉, 안평대군, 양사언 등과 함께 조넌 전기 4대 서예가 중 한 사람이다. 한양 인수동에 살았다해서 그의 서체를 인수체라 한다. + 금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보리암은 양양 낙산사 홍련암, 강화도 보문사와 함께 관세음보살을 모신 전국 3대 기도처 중 하나로 유명하다. 반드시 한 가지 소원은... 2024-03-02 13:03:00
부산의 여왕닭 탐방 #자암서원 #회야정수장 #인공습지 #회야댐연꽃밭 #울산회야댐 #... m.blog.naver.com 석계서원 위치:울산 울주군 웅촌면 대복동천로 160-12 석계서원과 근재공 고택이 가깝게 있습니다. 석계서원 표지석 반계이양오선생문학비 충숙공 이예선생의 후손이며 영조때 태어나 후진양성에 힘쓴 분입니다. 수종은... 2022-08-13 21:35:00
송풍수월 (松風水月) 받은 자암 김구(自菴 金絿1488∼1534) 선생의 유묵(遺墨)이었다. 큰 작품에 유려한 초서 작품이 인상적이었다. 미수 허목(眉수 許穆1595∼1682) 선생의 독특한...청암정(靑巖亭) 정자 속에 판각하여 게시되어 있었습니다. 충재선생의 교지 고택 왼편에 위치한 沖齋先生遺物館 보물급 전적 문화재가 많이 소장되어 있다... 2012-05-14 18:53:00
지리산동남쪽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점우당. 마을앞쪽 우측 골목이다. 자암종택이란 안내표지판이 있다. 자암 이만환의 종택으로 건립연대는 미상이다. 안채는 당초 마을...1803)애 윤곡 이희발이 지었다고 되어있다. 운곡당 사랑채 소우당 고택 소우당은 조선 후기 의성 지방의 양반집으로, 살림채와 별당에 해당하는 안사랑채의... 2021-05-07 23:24:00
義城新聞 남긴 후기를 읽어보면 문이 잠겨있어 고택을 살펴보지 못하여 아쉬웠다는 사례를 많이 봤다. 문화해설 신청으로 해설과 함께 내부까지 살펴볼 기회를 얻을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학록정사를 비롯한 많은 고택과 초가 그리고 골목과 담장을 구경하게 된다.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2022-06-24 10:0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