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냥육아,네가족의 육아일기 길었던 추석연휴, 친정식구들과 밀양으로 여행을 떠났다. 당연히 키즈펜션만 생각하다 한옥스테이를 하면 어떨까 싶어 찾아보다 예약한 소은고택 키즈펜션보다 더 잘놀아준 우리 아가들 고마워 경상남도 문화재로 등록된 200년의 역사,조선후기 사대부의 집 매주 토요일 10:00-17:00 일반개방 숙박 or 체험 예약 시... 2024-09-19 22:18:00
밀양시 블로그, 날 좀 보소! 밀양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제가 최근에 다녀온 정말 멋진 곳, 밀양의 소은 고택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이곳은 조선시대 후기에 지어진 전통 가옥으로, 그때의 생활 양식과 건축 문화를 그대로 느낄 수 있는 곳이에요. 전통 한옥의 매력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았답니다! 소은 고택의 역사와 배경... 2024-09-13 19:00:00
느린 틈새여행 이후 정착한 여주이씨가 학문으로 널리 알려지며 마을이 번창한 것으로 전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소은고택은 건축된지 200년이 넘은 조선 후기의 한옥 고택으로 무승지를 지낸 근선공 함평이씨 이승운 (1723 ~ 1797)의 본가로도 알려져 있다. 정면 6칸 팔작집인 사랑채, 정면 5칸 측면 2칸... 2025-05-10 20:56:00
8 맞춰 소은한복 대전점에 방문 하게 되었습니다. ☺️ 🤭🤭 😊😊😊 ✌️✌️✌️✌️✌️ 소온 한복 (대전) 매장 소개 높은 층고, 25년3월 오픈, 넓은 주차장 🪟 주소 🪟 대전광역시 서구 관저동 1989 1층 102호 소온한복대전 은 위치도 너무 좋아요. 층고 높은 1층에 위치해 있고 주차장도 정말 넓습니다. 대전한복 = 소온한복 매장 내부... 2025-03-19 12:04:00
밀양 DG481 펜션 바랍니다. 소은고택/ 조선시대 남부지방 사대부의 전통 살림집으로 200년이 넘은 역사를 가진 경남문화재자료입니다. 스테이매료/ 하루 1팀을 위한 프라이빗 한옥 풀빌라입니다. 삶의 쉼표같은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부부일랑/ 위양지 부근의 250평 대지위의 숙소와 온통 자연에 둘러 싸여져 있습니다. DG4 81... 2024-12-11 23:37:00
즐거운 나의 집 목 (소은 구택) 김위진 가옥은 고종 30년1898에 김휘윤쇄페이 지은 살림집이다. 김휘윤의 호를 따 조은 구택이라고도 한다. 평면이 'ㅁ' 자 모양인 기와지붕 집...여러 군데에 나무를 다듬은 흔적이 있으나, 집 안에 마구간이 있고 안채로 들어가는 문이 부억 쪽에 있는 옛날 집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조선 시대 후기 2024-12-30 21:57:00
내셔널지오그래픽 트래블러 오래된 한옥으로 구성된 마을로, 그중에서도 1800년대 초에 지어진 소은고택이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마을로 들어서 낮은 토담 사이를 유유자적 걸으며 고즈넉...따라 외계 생명체를 추적하는 여행이 펼쳐진다. 아리랑우주천문대는 고려 후기 문신 박익의 묘에 그려진 북두칠성 고분벽화를 바탕으로, 벽화를 외계인이... 2024-12-17 09:00:00
yumyum-log 마당‘ 후기 보러 가실까요? 1. 뜰마당 기본정보 뜰마당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퇴로3길 2 📍주소: 경남 밀양시 부북면 퇴로3길 2 ⏰ 영업시간: 11:00 ~ 21:00 (매주 월요일 휴무) 🚗 가게 앞 주차장 이용 가능 🐶 애견 동반 가능 2. 가게 내외부 큰 비석이 반겨주는 뜰마당이에요. 바로 앞에 주차장이 있어서... 2024-07-27 17:15:00
산사에서의 풍경소리 조선 후기의 지방 선비가 살던 가옥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어 전통 한옥 건축과 당시 선비의 생활상 등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고 한다...옆으로 비켜난 문이니까 '중사랑채'가 아닌가 혼자서 추측.... 해설사가 없는 고택을 들여다 보면서도 답답함은 어쩔 수 없었다. 대문 앞에 서있는 안내문에... 2023-05-19 21:42:03
touryun1945님의블로그 후손과 소은 신천익(愼天翊 : 1592~1661)이 1630년경에 영보리로 옮기면서 현재의 규모로 새로 지었다. 일제 강점기인 1921년에는 이곳에 영보학원을 설립하여 주변 청소년들에게 항일 정신과 구국정신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현판은 석봉(石峰) 한호(韓濩)의 친필이라고 전한다. 영암 문화 명촌 영보정마을 돌아보기... 2024-09-16 08:24:00